전체 글

개발, 주식, 게임을 좋아합니다.
이제 가비아에서 도메인을 하나 사고 이것을 aws Route53에 세팅해 보겠습니다.가비아에 들어가서 아무거나 검색하여 가장 싼 도메인 하나를 구입합니다. 이렇게 500원짜리 저렴한 도메인들이 있습니다. (저는 이미 예전에 사둔 lee-seung-hun.com을 사용할거에요.)이제 My 가비아로 이동해서관리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리고 네임서버 설정 버튼을 클릭해줍니다.이제 aws의 Route53으로 들어갑니다호스팅 영역으로 들어와 호스팅 영역 생성 버튼을 클릭합니다.여기서 도메인 이름을 입력하고 생성합니다.이제 여기서 값/트래픽 라우팅 대상에서 1,2,3,4 값을가비아 네임서버 설정에서 복붙을 해 1차, 2차, 3차, 4차에 넣어줍니다.넣을때 뒤에 . 빼고 넣어야해요 !넣을때 뒤에 . 빼고 넣어야해요 !..
React, Vue, Solid 같은 웹을 간단하게 배포를 하고 자동화를 하는 방법에 대해서 누구나 따라 할 수 있게 글을 작성해 보겠습니다.코드는 이 코드를 사용했습니다. Rspack, Solidjs를 사용했지만 React, Vue 등 다양한 기술에도 적용 가능합니다.S3 s3를 세팅해 보겠습니다. 제가 따로 언급하지 않는 부분들은 기본값으로 두시면 됩니다.버킷 이름은 web-baepo로 지정했습니다.모든 퍼블릭 액세스 차단을 해제합니다. 이제 S3 Bucket을 만들고 상세 페이지로 들어가 줍니다. 속성 텝으로 들어가정적 웹 사이트 호스팅에서 편집 버튼 클릭하여 들어가 줍니다.활성화 라디오를 체크하고 변경사항 저장을 눌러 적용을 합니다.이번에는 권한 텝으로 들어갑니다.버킷 정책에서 편집 버튼을 누르고..
회사에서 React Native를 사용해서 거의 사용해본적이 없어서 간단하게 정리하면서 사용해보려고 한다. 사실 공식문서 보면서 이것저것 해보는거 기록하는용이라 별다른 내용은 없다.코드들은 여기에 정리했다.이걸 왜 써야하나 ?웹에서는 브라우저 히스토리에 스택으로 쌓이는 구조다. 하지만 React Native에서는 이런 히스토리 관리가 내장되어 있지 않아서 따로 구현을 해야하는데 이걸 잘구현 해놓은것이 React Navigation이다세팅은 공식문서를 보고 하면 쉽게 쉽게 할 수 있다.Navigation 등록App.tsx에import * as React from 'react'import { NavigationContainer } from '@react-navigation/native'import { cre..
tmdgns
부자가 되고 싶은 개발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