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 오늘은 수익형 웹사이트를 만들어보려고 합니다.
수익이 생기면 혼자 다 먹고 싶은 마음이 있기 때문에 기획, 디자인, 개발, 마케팅 모두 저 혼자서 할 예정이고요. 앞으로 지속적으로 유지보수, 기능 추가를 하면서 서서히 키우고 싶은 욕심도 있습니다.
무엇을 만들지 확인해볼까요 ?
기획
사실 기획이 제일 어렵고 중요한거 같습니다.
회사에서 일을 하면서 계속 느끼는 점은 “개발보다는 기획이 서비스의 성공 여부를 결정한다”였습니다.
그런데 뭔가 엄청난 것을 기획하고 그것을 완성시키려면 너무 힘들어보이더라고요. 특히 사람들이 사용하는 좋은 서비스를 만들고 그것으로 돈을 벌 비지니스 모델을 설계하고 그것을 디자인, 개발하는게 너무 큰 장벽처럼 느껴졌습니다.
그런데 갑자기 이런 생각이 들더라고요.
근데 많이 쓰면 장땡 아니야 ?
서비스가 좋은 질 (많은 인력이 들어간)로 돈을 버는 것도 있으면 단순히 양으로 승부를 봐도 괜찮지 않을까 ? 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러면 질보다 양…. 인 생각으로 생각을 해보니 웹에서 사용 가능한 모든 잡다한 서비스를 하나의 웹에서 제공하면 어떨까 ?
라는 생각이 떠올랐습니다.
뭐 예시로
- 이미지 처리
- 모니터 불량화소 테스트
- 인터넷 속도 측정
- 반응 속도 측정
등등 이러한 간단?한 기능들을 제공하고 서비스 입니다.
디자인
저는 디자인을 잘하지 못합니다. 예전에 포트폴리오를 직접 디자인해서 만들었는데 이정도 디자인이면 그냥 제출하지마라라고 들을 정도였습니다.
이런저에게 디자인이란 너무 어려운 과제입니다…. 근데 그렇다고 MUI등 Ui 제공 라이브러리를 사용하기 좀 꺼려졌습니다. 왜냐하면 갓갓 CSS 라이브러리 panda css 를 사용하고 싶었기 때문이죠. 그리고 Headless Ui를 사용하고 싶었습니다.
그리하여 이것저것 찾아보는 도중… panad css를 사용할 수 있고 Headless로 제공이 되며 예쁜 디자인이 자동으로 들어가있는… park-ui !!!!
이 park ui는
- tailwind, panda css 중 하나 선택 가능
- Headless Ui
- 예쁜 디자인 (색상 커스텀까지 제공)
이런 기능들이 너무 좋은거 같습니다 !
개발
개발에서는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하려고 했습니다.
기술 스택
- Next js
- Park Ui
- i18n-next
가장 많이 사용했으며 대중의 픽을 받은 Next js(page router)을 사용할 예정이며 위에서 언급한 park UI, 다국어를 위한 i18n-next를 사용할 예정입니다.
인프라
- vercel
간편하고 쉬운 vercel로 할 예정입니다. 혹시 나중에 유입이 많아지면 비용이 많이 부과되면 aws로 넘어갈 예정입니다.
에드센스
애초에 수익형 웹이기 때문에 에드센스는 필수입니다.
구글 에드센스, 카카오 에드핏은 신청할 예정입니다.
승인이 매우 힘들거 같은데 잘해봐야 할거 같습니다.
SEO
이 웹 서비스는 사람들의 유입이 가장 중요하기 때문에 SEO는 필수입니다. 우선 next js sitemap으로
- next js sitemap
- 다국어 지원 meta tag
- 시멘틱 tag
- 리치 스니펫
이정도로 할 예정이며
구글 search console로 관리할 예정입니다.
목표
- 간단한 기능 2개로 먼저 배포
- SEO최적화, 다국어 적용
- 구글 에드센스 승인
간단한 기능 2개로 먼저 배포
우선
- 이미지 변경
- 확장자 변경
- 리사이즈
- 모니터 불량 화소 테스트
이정도 기능을 먼저 개발하고
- 구글 서치 콘솔 연동
-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연동
으로 관리를 하려고 합니다.
그리고 이 블로그에 기능 추가 및 SEO관련 수익 관련해서 꾸준히 업로드를 해보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