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론트엔드 SEO 구글 검색 엔진과 최적화
오늘은 SEO, 그중에서도 구글 검색 엔진이 하는 일과 최적화에 대해서 공부한 것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SEO란 ?
SEO는 Search Engine Optimization의 줄임말로 검색 엔진 최적화을 의미합니다. 쉽게 말해서 우리의 웹사이트가 검색 결과에 더 잘 보이도록 최적화하는 것입니다.
SEO를 왜 해야 할까 ?
SEO는 가장 효율적인 마케팅이라고 생각합니다. 구글에 검색을 했을 때 검색 결과에 높게 표시될 경우 유저들의 트래픽이 증가할 확률이 매우 높습니다.
이 사진을 분석해 보면 검색결과 1,2,3등을 합친 게 50%가 넘는 모습입니다.
광고 달면 그게 더 높게 나오는데 광고로 하는 게 좋지 않을까 ?
물론 돈으로 광고를 달면 아예 검색 결과에 안 나오는 것보다는 괜찮겠지만 유저들은 심리적으로 맨위에 있는 광고를 클릭하는 것보다 그 밑에 SEO가 잘 된 사이트를 클릭할 확률이 높습니다. (저도 보통 광고 말고 그 바로 밑에 링크를 클릭합니다.)
구글 검색 엔진
세계 최고의 유저 점유율을 갖고 있는 구글입니다. 물론 한국에서는 네이버 점유율이 더 높은 것으로 알고 있는데 이 글을 구글 기준으로 작성을 해보겠습니다.
구글 검색 3단계
구글 검색은 총 3단계로 이루어져 있는데요.
- 크롤링
- 색인 생성
- 검색결과 게재
의 순서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1. 크롤링
구글의 웹 크롤러가 웹 사이트를 파악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 지속적으로 새로운 페이지, 업데이트된 페이지를 검색하고 검색된 페이지들을 페이지 목록에 추가합니다.
- 링크를 통해 새로운 페이지 발견 혹은 사이트맵을 통해 발견되기도 합니다.
- 크롤링을 허용하지 않는 페이지는 크롤링 하지 않습니다. (ex 로그인이 필요한 페이지, robots.txt 규칙 문제)
- 크롤러가 Chrome 최신 브라우저에서 페이지를 렌더링 합니다. 그리고 자바스크립트를 실행합니다. (참고로 네이버 크롤링 봇은 자바스크립트를 실행하지 않습니다.)
2. 색인 생성
페이지의 내용을 파악하는 단계입니다.
- title 태그, 이미지의 alt 속성, 이미지, 동영상 등을 분석합니다.
- 다른 공통점이 있는 비슷한 페이지들과 그룹으로 묶는 클러스터링이라는 작업을 합니다.
- 데이터베이스에 저장을 하고 이를 구글 색인이라고 합니다.
- 색인 생성은 보장되지 않습니다. (페이지의 품질이 낮거나, robots meta 규칙이 색인 생성을 막음, 색인 생성에 불리한 디자인)
3. 검색 결과 게재
유저가 검색을 하면 구글은 색인들을 저장한 데이터 베이스에서 가장 높은 품질과 검색어와 가장 관련성이 큰 결과를 보여줍니다. 사용자의 위치, 언어 기기 등 수많은 요인이 적용됩니다.
최적화
이제 최적화를 하는 다양한 방법에 대해서 나열해 보겠습니다.
- 높은 품질의 컨텐츠 : 검색엔진 최적화 작업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입니다.
- 백링크 : 다른 웹사이트에서 링크를 거는 것을 의미합니다. 단순히 많은 사이트에서 링크를 거는 것보다는 연관성과 신뢰성이 높은 사이트에서 연결된 백링크가 더욱 높은 점수를 부여합니다.
- 크롤링 친화적 : 웹 사이트의 속도, 모바일 친화적 등 기술적은 측면에서 최적화가 잘되어 있어야 합니다.
- 시멘틱 html 태그 : 크롤링 친화적과 비슷한 내용인데 검색엔진이 웹사이트를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돕습니다. 또한 웹 접근성에도 중요한 요인입니다. 특히 title 태그와 meta description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그리고 h1 태그는 제2의 title이라고도 불립니다.
참고